기타

나에 대한 자부심이 없어요, 어떡하죠?

행세성각 2014. 6. 7. 21:59

나에 대한 자부심이 없어요, 어떡하죠?



법륜스님의 희망이야기
2014.05.13

스스로에 대해 자긍심이 없다고 느껴질 때가 있으신가요? 남을 보면 부럽고 나는 초라하게 보일 때 그럴 때 있지요. 이럴 땐 어떻게 마음을 다스려야 할까요? 법륜 스님의 답변입니다.




- 질문자 : “남의 인생을 보면 부러운 마음이 들다가도 '나도 이 정도면 괜찮지' 하는 마음으로 돌이키기도 합니다. 늘 가족이 먼저고 자식이 먼저고 옆 사람이 먼저였기에 남이 나를 칭찬해 주어도 나에 대한 긍정이나 자부심이 적었습니다.”


 법륜 스님 : “사람이 자꾸 비교하면 끝이 없습니다. 죽 먹을 때는 옆에서 라면 먹는 것만 봐도 부럽고, 라면 먹을 때는 밥 먹는 것만 봐도 부럽고, 밥 먹을 때는 고기반찬 먹는 게 부럽지요. 이렇게 먹는 것 가지고 부러워하다가 먹는 게 해결되면 그 다음엔 옷 입는 게 부럽고 이 문제가 해결되면 또 그 다음엔 집 가지고 부러워하고 집 문제 다 해결이 되면 그 다음엔 차가 부럽듯이 이렇게 끝이 없습니다.


모든 사람은 다 자기 고뇌가 제일 크다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남이 보면 어떻습니까? 별 것 아닌 것 가지고 문제 삼는다 이런 생각이 듭니다. 각자 세계가 다른 것입니다. 상대의 관점에 따라 모두 다른 것이 바로 인생이라는 것을 이해하면 내가 편합니다. 그렇지 않고 나를 기준으로 타인을 보면 이해가 안 되니 자꾸 짜증만 나게 됩니다. 그렇다면 내 문제는 어떻게 봐야 할까요? 다른 사람의 눈으로 봐야 합니다. 다른 사람이 나를 볼 때는 어떨까? 지금 내가 고민하는 이것을 다른 사람이 볼 때는 어떻게 생각할까? 인도에 가보면 하루 천 원으로 생활하는 사람이 수도 없이 많습니다. 그런 것을 보면서 내가 가진 게 무척 많구나. 이 세상에 정말 가난한 사람이 너무 많구나. 그런 그들도 다 웃고 사는데 내가 무엇 때문에 인생을 못 살겠느냐 느낄 수가 있습니다.


마음공부라는 것은 마음이 늘 경계 따라 움직인다는 것을 아는 것입니다. 그렇게 움직이는 것이 마음의 성질이지만 그렇다고 마음 따라 다 갈 수는 없습니다. 하고 싶은 것도 때로는 안 해야 되고 하기 싫은 일도 때로는 해야 됩니다. 이것이 우리를 행복으로 이끄는 길입니다. 그래서 불법을 이해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윤리나 도덕 때문에 비난이 두려워서 안 하는 게 아니라, 과보가 따르니 하기 싫더라도 이것은 하는 게 좋겠다, 하고 싶더라도 이것은 멈추는 게 좋겠다, 이 법을 알고 따르는 겁니다. 그러다가 자기도 모르게 이리 치우치고 저리 치우쳤을 때는 ‘내가 또 업력에 끌려갔구나’ 이렇게 참회를 하면서 하루를 살면 사는 게 자유로워집니다. 하고 싶은 것은 하고, 하기 싫은 것은 안 하는 게 자유라고 생각하지만 그것은 카르마의 속박을 받고 있는 것이지 자유가 아닙니다.


이렇게 자기 관찰을 해본다면 내가 어떻게 살아야 될지 정리가 됩니다. 이 원리를 알면 친구들 모임에 가서 ‘내가 이런 걸 부러워하는구나, 이런 것에 열등의식을 좀 갖고 있구나, 이런 데 끌리고 있구나’ 하고 그냥 그걸 보고 일어나는 마음을 알게 됩니다.


내가 큰 집을 보면 ‘좋아하는 게 있구나, 정원을 잘 꾸미는 것을 좋아하구나, 그릇을 보면 좋아하는구나, 그런 게 내 카르마구나’ 이런 정도로 자기를 관찰하고 넘어가면 됩니다. 그걸 따라가다 보면 과보로 인한 고통이 생깁니다. 그러면 또 그런 자기를 문제 삼지 말고 ‘이런 마음이 일어나네.’ 알면 됩니다. 이런 걸 보면서 ‘나한테 아직은 이런 부러움이 있구나, 내 카르마에 이런 게 남아 있구나.’ 하고 자기를 보고 그냥 지나가면 됩니다. 그러면 괴로움이 없습니다. 괴로움이 일어났다가도 금방 사라집니다. 이렇게 괴로움 없이 사는 것이 자기를 아끼고 소중히 여기는 것입니다.”


* 3월28일부터 6월20일까지 2014 희망세상만들기 '법륜 스님의 즉문즉설' 강연이 전국 시군구에서 열립니다. 우리동네 강연일정 확인하시고 가족, 이웃, 친구와 함께 오세요.

[법륜 스님의 전국 강연일정 보기] http://goo.gl/BReq2M

행복도 내가 만드는 것이네, 불행도 내가 만드는 것이네. 진실로 그 행복과 불행, 다른 사람이 만드는 것 아니네.



출처:

http://v.daum.net/edition/viewer/2649



치약과 칫솔이 건강을 위협한다? / 소금 양치질의 좋은 점 - 치아, 잇몸질환, 치과질환, 틀니, 면역력, 감기, 신종플루(신종독감), 구강청결, 구내염, 입냄새, 위염, 위장장애
“암은 평범한 병, 심호흡만 잘해도 암세포 분열 저지” - 건강, 암치료법, 스트레스, 휴식, 생활방식
WHO "1주 5일 30분만 걸어도 암 예방 효과" - 건강, 운동, 걷기
허리 펴고 가슴 열면 무병장수 문제 없죠 <몸살림운동본부> - 건강, 척추운동, 맨손체조, 당뇨/피부/자궁근종/어깨통증/디스크/생리통/생리불순/무생리/요통/파킨슨병/암/비만/시력/변비 등
유전자조작 GMO 농산물 경보(동영상4) - 건강
"일본과 우리나라 수산물 방사능 검사결과 불일치" - 건강, 원전

혜안을 얻는 방법: 단정하는 것을 멈추면 더욱 올바른 판단을 할 수 있게 되고 원하는 것을 이루는 것이 더 쉬워집니다(고정관념, 극단적인, 통찰력-진실을 보는 힘, 깨달음)
호오포노포노 - 정화와 치유, 문제해결, 풍요와 자유를 누리는 방법 (휴렌박사)
일상에서 찾은 명상법 (브레인 Vol. 23) - 몸과 마음의 건강, 기역력 증진, 맑은 의식
가장 빨리 깨어나는 법(일반인이 실천하기 좋은) - 차원상승, 도, 깨어나기, 차크라 열림, 사랑으로 사는 것

복지 사각지대의 비극..정부는 '부정수급 찾기'만 바빠 - 사회안전망
시험대 오른 '박근혜표 복지', 체감온도 높이려면..
공짜 돈의 위력 - 다른 복지 접근방법 제시
프리드리히 에버트재단 초청 강연회 <독일의 사회민주주의 현황과 개혁논의> 녹취록 전문 <진보정의당>
이런 댓글 받는게 또 글쓴이의 기쁨 아니겠니? - 현 정치 상황에서 당장 뭘 해야 되느냐?
대한민국(세상)을 바꾸는 가장 좋은 방법
<투표는 정치를 바꾸고 우리나라(세상)를 바꾸는 가장 강력한 방법> - 국민투표제도, 국민들의 열망과 요구
국민들의 "대한민국(세상)을 바꾸기"가 시작되었습니다. - 6.2지방선거, 후보단일화

부동산 연착륙도, 경착륙도 아닌 견착륙을 해야 한다 - 주택, 아파트, 건설
"가축에 사용된 항생제, 인체에 치명적 결과 초래"
변화의 출발점 - 세상이 바뀌기를 바란다면

[성명]대통령의 결단이 필요합니다. <여러분과 안철수의 동행> - 국정원 개혁
노무현의 이적행위, 새누리의 이적행위!! - 북방한계선(NLL), 국정원 대선 개입
종묘공원의 박카스 아줌마들 이야기 - 그런 쓸쓸한 모습, 보편적 복지의 필요성
다시 뜨거워진 촛불 열기 "국정원 대선 개입 박근혜 책임져야"
[논평] 이정미 대변인, 국정원의 선거개입과 여론조작 의혹, 신속하고 철저한 수사를 촉구한다 <진보정의당> - 2012 대선
'정권교체'와 '정치개혁', 문재인과 안철수의 간격 - 2012 대선, 야권단일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