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경제-시국시사

[새정치개혁] [취재] "한국, 소프트웨어 발전에 좀 더 집중해야", 에릭 슈미트 구글 회장의 일침

행세성각 2013. 11. 9. 02:37

[취재] "한국, 소프트웨어 발전에 좀 더 집중해야", 에릭 슈미트 구글 회장의 일침



이은별(Wiiny@inven.co.kr)

(원문에서 발췌)

10월 31일, 한국 최고의 인재들이 모인 서울대학교에 구글의 에릭 슈미트(Eric E. Schmidt) 회장이 방문해 '에릭 슈미트 구글회장과의 대화 : How to Prepare for What's NEXT' 라는 타이틀의 행사에 참석했다.

이날 행사는 서울대학교 학생 및 참여 희망자의 질문 중 선별된 몇 가지 질문에 에릭 슈미트 회장의 대답을 듣는 대담 형식으로 진행되었다. 전세계적으로 존경받는 기업가 중 한 명으로 손꼽히고 있는 에릭 슈미트 회장인만큼, 300명 수용의 강당을 꽉 채우고도 절반 이상의 사람이 행사장 밖 모니터링으로 대담을 지켜볼 정도로 많은 인원이 몰렸다.

'한국은 어떤 나라라고 생각하는가?' "5~6년 전 한국을 처음 방문했을 때만 하더라도 구글의 한국 진출을 해야하는지 굉장히 많이 고민했었습니다. 네트워크 기술력이나 모바일 이해도가 부족했고, 언어와 기술의 호환도 상당히 어려웠었죠.

그런데 몇 년이 지난 지금의 한국은 스마트폰 보급률도 상당히 높은 국가가 됐을 뿐더러 최고 속도의 네트워크를 자랑하고 있으며, 모바일컴퓨팅에 대한 높은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어진 질문은 '미래' 에 관한 질문이었다. 에릭 슈미트 회장은 미래를 대비하기 위해서 '무한한 정보의 공유' 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스마트폰 기기의 보급률이 높아짐에 따라 많은 사람이 스마트폰에서 흘러나오는 정보를 통해 소식을 듣고, 쇼핑을 하고, 커뮤니케이션을 하며 살아가고 있고, 정보에 대한 의존도는 더 높아질 전망이라는 것.

현재 컴퓨터는 굉장히 많은 정보를 담고 있지만, 사용자가 스스로 검색을 해야 해당 정보를 알려주는 식이다. 허나 구글이 생각하는 미래는 필요한 시점과 장소에 따라 적절한 정보가 자동적으로 제공되는 형태다. 에릭 슈미트 회장은 미래는 집, 회사, 모바일 등 일상생활에서 사용되는 기기들이 사용자의 상황을 공유해 역할을 수행하고,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적시에 제공하는 형태가 될 것이라 기대를 표했다.

"이를테면 내가 한국에 왔을 때 날씨가 어떠한 지, 이런 행사에 참석하려면 무슨 옷을 입어야 할 지, 어떤 이야기를 해야 할 지를 컴퓨터가 자동으로 정보를 찾아다 주는 거죠. 다 비슷비슷하게 생긴 K-pop스타들 중 어떤 사람들이 가장 인기있는 지도 알려주고요" (좌중 웃음)

"한국은 현재 하드웨어 측면에서는 세계적인 첨단 기술력을 보유한 국가입니다. 하지만 이제는 소프트웨어에 더 중심을 둬야 할 겁니다. 미래에는 각 하드웨어마다 소프트웨어가 필수적으로 탑재될테니까요. 약 40년 전에는 조선업, 자동차제조업, 제철 산업을 발전시켜 지금의 삼성과 LG가 탄생했듯이, 지금부터 소프트웨어 산업을 충분히 성장시켜 놓아야 다음 세대를 견인할 기업이 탄생할 겁니다."

그는 많은 사람들이 정보의 바다 속에서 살고 있지만, 몇몇 국가는 굉장히 폐쇄적이라며 올해 초 북한을 방문했던 이야기도 풀어냈다.

"북한을 가보니, 확실히 북한은 도와야 할 국가라는 걸 알 수 있었습니다. '위대한 지도자'와 그 업적에 대해 굉장히 높은 자부심을 가지고 있는 나라지만, 너무나 폐쇄적이거든요. 북한을 도와주며 교류의 문을 열어나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 K-스타트업 프로그램 2기 선정 기업인들도 자리했다
(좌측부터 의료교육 서비스 'Heartisense', 여행 플래닝 서비스 '스투비플래너', 웹툰 콘텐츠 플랫폼 '레진코믹스', 화초관리 서비스 '플랜티', 이외에 모바일 언어교육 앱 '비스킷' 대표)

'K-스타트업' 해당 프로그램에 대해 에릭 슈미트 회장은 '전세계에서 가장 창의적인 사람을 찾기 위한 노력의 일환' 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당장만 놓고 봤을 때 수익 자체는 실질적인 결과가 안 나오지만, 이들이 보유한 창의성이 있다면 빠르게 혁신을 이끌 수 있기 때문에 걱정하지 않는다고 여유로운 태도를 보였다.

"창의성이라는 것은 강제적으로 발휘되는 것이 아닙니다. 번뜩이는 아이디어가 있다면 더할 나위 없이 좋겠지만, 모든 사람이 다 아이디어가 있는 건 아니죠. 아이디어가 없다면, 창의적인 사람을 찾아 강압하지 않고 지원해줘야 합니다. 오늘날에는 다양한 문화권과 인종이 어우러져 있는 사회인만큼, 다양성을 확보하고 여성의 참여를 이끌어내야 합니다."

이어 청중과의 대담을 통해 에릭 슈미트 회장은 한국의 미래에 대한 우려도 표했다. 그는 한국의 주민등록번호로 인해 해외에서 국내에 서비스하고자 할 때 특수 로컬라이징을 해야할 뿐만 아니라, 국내 기업이 해외로 나갈 때도 종종 불편한 점이 생긴다고 꼬집었다. 그는 이어 국내 기업이 서비스를 기획 중이라면, 한국만 볼 것이 아니라 최소 아시아까지는 아울러 봐야한다고 덧붙였다.

또한, 현 세대층의 문제 인식력이 빈약하다는 것도 지적했다. 어떤 문제가 발생하면 무엇으로 인해 해당 상황이 발생했는가를 파악해야 하는 것이 능사거늘, 당장의 문제 해결에만 급급하다는 것이다.

그는 지난 30일 논현동에서 열린 '빅텐트 서울' 컨퍼런스 현장에서 "한국의 게임산업은 K-POP처럼 성장할 수 있으니 검열을 자제하고 창조적인 성장을 이끌어야 한다"고 언급했으며, 한국의 셧다운제에 대해 "한국의 온라인 게임은 전세계 사람들이 24시간 내내 플레이하는데, 오히려 한국 청소년만 밤 10시 이후에는 접속할 수 없다. 창의력을 확대하고 산업을 부흥하기 위해서 정부는 게임 산업을 규제하지 말아야 한다" 고 의견을 피력한 바 있다.



출처:

http://www.inven.co.kr/webzine/news/?news=65735



[성명]대통령의 결단이 필요합니다. <여러분과 안철수의 동행> - 국정원 개혁 {모바일}
노무현의 이적행위, 새누리의 이적행위!! - 북방한계선(NLL), 국정원 대선 개입 {모바일}
[논평] 이정미 대변인, 국정원의 선거개입과 여론조작 의혹, 신속하고 철저한 수사를 촉구한다 <진보정의당> - 2012 대선 {모바일}
프리드리히 에버트재단 초청 강연회 <독일의 사회민주주의 현황과 개혁논의> 녹취록 전문 <진보정의당> {모바일}

부동산 연착륙도, 경착륙도 아닌 견착륙을 해야 한다 - 주택, 아파트, 건설 {모바일}

혜안을 얻는 방법: 단정하는 것을 멈추면 더욱 올바른 판단을 할 수 있게 되고 원하는 것을 이루는 것이 더 쉬워집니다(고정관념, 극단적인, 통찰력-진실을 보는 힘, 깨달음) {모바일}
호오포노포노 - 정화와 치유, 문제해결, 풍요와 자유를 누리는 방법 (휴렌박사) {모바일}
일상에서 찾은 명상법 (브레인 Vol. 23) - 몸과 마음의 건강, 기역력 증진, 맑은 의식 {모바일}
가장 빨리 깨어나는 법(일반인이 실천하기 좋은) - 차원상승, 도, 깨어나기, 차크라 열림, 사랑으로 사는 것 {모바일}

치약과 칫솔이 건강을 위협한다? / 소금 양치질의 좋은 점 - 치아, 잇몸질환, 치과질환, 틀니, 면역력, 감기, 신종플루(신종독감), 구강청결, 구내염, 입냄새, 위염, 위장장애 {모바일}
“암은 평범한 병, 심호흡만 잘해도 암세포 분열 저지” - 건강, 암치료법, 스트레스, 휴식, 생활방식 {모바일}
WHO "1주 5일 30분만 걸어도 암 예방 효과" - 건강, 운동, 걷기 {모바일}
허리 펴고 가슴 열면 무병장수 문제 없죠 <몸살림운동본부> - 건강, 척추운동, 맨손체조, 당뇨/피부/자궁근종/어깨통증/디스크/생리통/생리불순/무생리/요통/파킨슨병/암/비만/시력/변비 등 {모바일}
유전자조작 GMO 농산물 경보(동영상4) - 건강 {모바일}
"일본과 우리나라 수산물 방사능 검사결과 불일치" - 건강, 원전 {모바일}

이런 댓글 받는게 또 글쓴이의 기쁨 아니겠니? - 현 정치 상황에서 당장 뭘 해야 되느냐? {모바일}
다시 뜨거워진 촛불 열기 "국정원 대선 개입 박근혜 책임져야" {모바일}
'정권교체'와 '정치개혁', 문재인과 안철수의 간격 - 2012 대선, 야권단일화 {모바일}
대한민국(세상)을 바꾸는 가장 좋은 방법 {모바일}

<투표는 정치를 바꾸고 우리나라(세상)를 바꾸는 가장 강력한 방법> - 국민투표제도, 국민들의 열망과 요구 {모바일}
국민들의 "대한민국(세상)을 바꾸기"가 시작되었습니다. - 6.2지방선거, 후보단일화 {모바일}